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용인 경전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용인 경전철은 1996년 경기도 용인시의 교통난 해소를 위해 추진된 경량 전철 사업이다. 2005년 착공하여 2010년 완공되었으나, 소음 문제, 최소운영수입보장(MRG) 문제 등으로 개통이 지연되었다. 2013년 4월 26일 개통되었으며, 현재 기흥역에서 전대·에버랜드역까지 15개 역을 운행한다. 2016년부터 네오트랜스가 위탁 운영했으며, 2023년 8월부터 타원시스·대전광역시 도시철도공사 컨소시엄이 운영을 맡고 있다. 사업 초기 수요 예측 실패와 MRG 문제로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으며, 현재 기흥역에서 신분당선 광교역까지 연장하는 계획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인 경전철 - 네오트랜스
    네오트랜스는 신분당선 및 용인 경전철의 운영 및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회사이며, 2005년 설립되어 신분당선 전 구간과 용인 경전철의 역무 관리 및 선로 유지보수 운영 업무를 수행한다.
  • 용인 경전철 - 용인경량전철 Y100호대 전동차
    용인경량전철 Y100호대 전동차는 2008년 용인경전철 개통과 함께 도입된 무인 운전 경전철 차량으로, 봄바디어 INNOVIA ART Mark II 시리즈 기반의 30개 편성 차량이 기흥역에서 전대·에버랜드역 구간을 운행한다.
  • 대한민국의 경전철 - 부산 도시철도 5호선
    부산 도시철도 5호선은 녹산국가산업단지와 부산 도심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으나 경제 위기로 인해 사상-하단 구간을 우선 추진하며, 2026년 개통을 목표로 총 6.9km, 7개의 역에 무인 자동 운전 방식으로 운행될 예정이다.
  • 대한민국의 경전철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1990년대 계획 수립 후 경전철 시스템으로 변경되어 2016년 개통되었으며, 검단오류역에서 운연역까지 27개 역을 무인 자동 운전 시스템으로 2량 1편성으로 운행하고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적용한다.
  • 201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수원시와 인천광역시를 잇는 수인선과 성남시와 서울특별시를 잇는 분당선을 2020년 9월 12일 통합 개통한 광역철도 노선으로, 수도권 서남부와 동남부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축을 형성하며, 향후 학익역 개통 예정 및 인천역-경부고속철도 연결 계획 검토와 함께 소음 문제 및 콘크리트 도상 사용 등 논란도 존재한다.
  • 201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분당선
    분당선은 서울 왕십리역과 경기 수원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노선으로, 수인선과 직결되어 인천역까지 운행하며, 급행 열차 운행, 소음 문제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기도 했다.
용인 경전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개요
용인 경전철의 차량
용인 경전철 차량
노선 종류피플 무버
시스템수도권 전철
상태운영 중
지역경기도 용인시
기점기흥역
종점전대·에버랜드역
역 수15개
개통일2013년 4월 26일
소유자용인시
운영자용인경량전철, 네오트랜스, 용인에버라인운영
차량 기지삼가차량사업소
사용 차량30 × 봄바디어 이노비아 ART 200 Y100
노선 길이18.143 km
선로 수복선
전철화 방식직류 750V 제3궤조방식
최고 속도80 km/h
신호 방식봄바디어 CITYFLO 650 CBTC
명칭
한국어용인경전철 (龍仁輕電鐵)
로마자 표기Yongin Gyeongjeoncheol
별칭에버라인
기타 정보

2. 역사

1990년대 후반 용인시의 인구 급증으로 새로운 도시 교통 체계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1996년 12월 경기도용인시 경량 전철 사업 추진을 발표하였으나, 재원 부족으로 지연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사업 지정, 계획 수립 및 협의 과정을 거쳐 2004년 7월 27일 용인시캐나다 봄바디어 컨소시엄 간 협약 체결로 본격 추진되었다.

2005년 12월 17일 착공, 2007년 3월 27일 용인시 지명위원회를 통해 역명이 결정되었고, 2010년 4월 21일 구갈역(백남준아트센터), 둔전역으로 2개 역명이 변경 고시되었다.

2010년 6월 완공되었으나, 소음 문제 및 최소수입보장(MRG) 관련 논란으로 개통이 지연되었다. 2011년 2월 18일 용인 경전철(주)는 국제상업회의소에 국제중재를 신청, 국제상업회의소는 용인시에 5159억 원의 손해배상금 지급 명령을 내렸다.

2013년 4월 17일 기흥역(백남준아트센터)로 역명 변경, 4월 19일 용인경전철 정상화 양해각서 체결 후, 4월 26일 개통되었다. 2013년 7월 25일 용인경량전철(주)가 사업시행자 지위 및 관리운영권을 인수하고, 용인시와 변경실시협약을 체결하였다.[43]

2014년 1월 9일 분당선과 환승 통로가 개통,[44] 9월 20일 수도권 전철 연락 운송 체계 편입 및 통합환승할인이 적용되었다. 2024년 1월 29일 용인중앙시장(용인예술과학대)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2. 1. 추진 배경

1990년대 후반, 용인시의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교통난이 심해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경전철 건설 사업이 추진되었다. 1996년 12월, 경기도가 용인 경전철 사업을 추진했지만, 재원 부족으로 인해 사업은 지연되었다.

1997년 3월 24일, 정부는 용인 경전철을 민간투자사업(SOC)으로 지정했고, 1999년 12월 29일 기획예산처에서 재지정하였다.[42]

2. 2. 사업 진행

2. 3. 개통 지연 및 논란

2010년 7월 개통을 목표로 용인 경전철이 완공되었으나, 개통이 계속 지연되면서 여러 논란이 발생하였다.[46]

용인시는 소음 대책과 탑승 시스템(EL/ES) 미비, 차량 부품의 법정 부품 미사용, 자금 재조달 계획 및 수도권 환승, 할인 시스템 구축 이행 등을 이유로 준공 절차를 늦추었다.[46] 특히 소음 문제는 심각하여 완공 후에도 297건의 불량이 지적될 정도였다.[16]

또한, 최소수입보장(MRG, Minimum Revenue Guarantee) 조항을 둘러싼 논란이 있었다. 개통 후 이용객 수가 예상치를 밑돌 경우, 용인시가 사업자에게 손실을 보전해 주어야 하는 상황이었다.[17] 초기 수요 예측치는 하루 14만 6000명이었으나,[17] 실제로는 이에 크게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되어 용인시의 재정 부담이 커질 가능성이 높았다.[17]

결국, 2011년 1월 11일, 용인경전철은 용인시에 사업 해지를 통보하였다.[50] 이후, 용인경전철은 국제상공회의소(ICC) 산하 국제중재법원에 국제 중재를 신청하였고,[51] 법원은 용인시에 손해 배상금 5159억 원을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렸다.[18] 이는 용인시 연간 예산의 40%에 해당하는 큰 금액이었다.[18]

이후 용인시는 국제중재법원의 판결에 따라 총 7787억 원을 배상해야 했다.[2] 이 과정에서 2012년 3월에는 이정문 전 용인시장이 용인경전철 비리 관련으로 구속되기도 했다.[19]

최종적으로, 용인시는 2013년 4월 19일 용인경전철(주)와 운영비 보전액으로 연간 295억 원을 지급하기로 합의하고, 2013년 4월 26일에 경전철을 개통하기로 하였다.[57]

2. 4. 개통 및 운영 정상화

2013년 4월 19일, 용인시는 용인경전철(주)와 새로운 양해각서를 체결하여 MRG(최소운영수입보장) 조항을 삭제하는 등 운영 정상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20][21] 2013년 4월 26일, 용인 경전철이 개통되어 4월 28일까지 무임 운송을 실시하였고, 4월 29일부터 유료 운행을 시작하였다.[43]

2014년 1월 9일에는 분당선과 환승 통로가 기흥역 (백남준아트센터)에 개통되었으며,[44] 2014년 9월 20일에는 수도권 전철 연락 운송 체계에 편입되어 통합환승할인이 적용되기 시작하였다.(별도 추가 운임 200원)[23]

2016년 8월 1일부터 신분당선 운영사인 네오트랜스가 용인 경전철 위탁 운영을 시작하였다.[24][25][26] 2023년 8월 1일부터 용인 에버라인 운영 주식회사가 새로운 위탁 운영사로 선정되어 운영을 시작하였다.

3. 운영

용인 경전철은 용인경량전철(주)가 소유하고, 용인 에버라인 운영 주식회사가 위탁 운영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25] 2013년 개통 이후 2016년까지는 (주)봄바디어트랜스포테이숀코리아에서 운영을 담당했고, 2016년 8월부터는 신분당선 전 구간을 위탁운영한 네오트랜스가 담당하다가, 2023년 8월 1일부터 용인 에버라인 운영 주식회사에 위탁 운영하고 있다.

열차는 6분 간격(일요일 및 공휴일에는 9분 간격)으로 1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필요에 따라 2량으로 증결될 수 있다. 차량 폭이 3.2m로[5] 한국에서 가장 넓은 차량이다. 각 차량은 133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다.[5]

개통 초기에는 수도권 전철의 통합 운임 대상에서 제외되었으나, 2014년 9월 20일부터 수도권 통합환승할인 시스템에 포함되어 수도권 전철과 버스와의 환승 할인이 가능해졌다. 타 노선으로부터 환승에는 별도로 200원이 가산된다(신분당선과 유사한 운임 시스템). 용인시는 시민의 부담 경감책으로, 2023년 10월 7일 수도권 전철 운임 개정부터 청소년, 어린이의 가산 운임(청소년 160원, 어린이 100원)을 폐지했다.

에버랜드까지 가는 직통열차를 만들 계획도 있었으나 시간 단축 효과가 미미하고 대피역이 없어 무산되었다.

4. 노선

용인 경전철은 기흥역에서 전대·에버랜드역까지 총 15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선 전체 길이는 18.1km이며[2], 모든 역이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다.

4. 1. 역 목록

2010년 4월 21일에 최종 결정된 역명을 따른다. 영업거리는 용인시청 경량전철과 제공.[58]

용인 경전철은 기흥역을 제외한 모든 역들이 2면 2선의 상대형으로 운영되고 있다.

역 번호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접속 노선역간 거리
(km)
누적 거리
(km)
소재지
Y110기흥(백남준아트센터)Giheung
(Nam June Baik Art Center)
器興(白南準아트센터)수인·분당선0.0000.000경기도용인시
Y111강남대Kangnam University江南大1.0441.044
Y112지석Jiseok支石1.0622.106
Y113어정Eojeong御井0.9183.024
Y114동백Dongbaek東栢1.1854.209
Y115초당Chodang草堂1.0975.306
Y116삼가Samga三街2.5917.897
Y117시청·용인대City Hall·Yongin University市廳·龍仁大1.0458.942
Y118명지대Myeongji University明知大1.0349.976
Y119김량장Gimnyangjang金良場0.75510.731
Y120용인중앙시장(용인예술과학대)Yongin Jungang Market
(Yongin Arts&Science Univ.)
龍仁中央市場(龍仁藝術科學大)0.94511.676
Y121고진Gojin古陳0.93512.611
Y122보평Bopyeong洑坪1.75014.361
Y123둔전Dunjeon屯田1.02715.388
Y124전대·에버랜드Jeondae·Everland前垈·에버랜드2.62618.014



용인 경전철의 모든 역은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해 있다. 노선 길이는 18.1km이다.[2]

5. 차량

용인경량전철 Y100호대 전동차는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션의 ART 기반 차량으로, 1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6. 문제점 및 논란

용인 경전철은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되는 과정에서 최소운영수입보장(MRG) 문제, 개통 지연 및 법적 분쟁, 봄바디어 운송 부패 의혹 등 여러 문제점과 논란이 발생했다.[3]

6. 1. 최소운영수입보장(MRG) 문제

용인 경전철은 민간투자사업(BTO)으로 추진되면서, 사업자에게 과도한 최소운영수입을 보장해주는 MRG 조항이 포함되어 논란이 되었다. 2001년 초기 예측에서는 개통 당시 하루 이용객이 14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으나[2], 이후 기흥역의 수인-분당선 공사 지연 등으로 인해 하루 3만 2천 명 수준으로 예측치가 조정되었다.[2][7]

2009년 1월 19일 용인시와 용인경전철은 투자협약을 변경하며 MRG 비율을 90%에서 79.9%로 낮췄지만[47], 수요 예측이 크게 빗나가면서 용인시는 재정 손실을 보게 되었다.

결국 용인시는 국제 상업 회의소의 중재에 따라 컨소시엄에 7790억을 배상해야 했다.[2] 2012년 4월 용인시는 새로운 양해각서를 체결, MRG를 폐기하고[48] 비용보전(SCS) 방식으로 전환하여 연간 약 2000만달러를 지급하며 손실을 보전하는 새로운 운영 계약을 체결했다.[7]

6. 2. 개통 지연 및 법적 분쟁

용인경전철은 2010년 7월 개통을 목표로 준공 및 시운전을 마쳤으나, 용인시는 소음 대책, 탑승 시스템 미비, 차량 부품 문제, 자금 재조달 계획 및 수도권 환승, 할인 시스템 구축 미이행 등을 이유로 준공 절차를 늦추면서 개통이 지연되었다.[46]

2011년 1월 11일, 용인경전철은 용인시에 사업 해지를 통보하고[50], 1월 20일에는 경전철 운영 요원 170명에 대한 정리 해고와 시설물 인수인계 협의 개시를 통보하였다. 1월 21일의 조정은 양측의 입장 차이로 결렬되었다. 2월 21일, 용인경전철은 국제상공회의소 (ICC) 산하 국제중재법원에 국제 중재를 신청하고 준공 및 운영 개시 가처분 신청을 취소하였다.[51]

2011년 3월 5일, 용인시 의회는 용인경전철조사특별위원회를 구성하여 개통 지연의 원인과 책임을 조사하기로 결정하였다.[52] 2011년 10월 11일, 국제중재법원은 용인시에 용인경전철에 5159억을 지급하라는 1단계 판정을 내렸다.

2012년 6월 20일, 국제중재법원은 용인시에 경전철 운행 불능으로 발생한 손실 2628억을 용인경전철에 지급하라는 판결을 통보하였다. 1차 판결 5159억을 포함하여 총 7787억의 배상금이 발생했으며, '용인경전철 사업 재구조화 및 자금재조달 협약'에 따라 2차 배상금은 지방채 발행 없이 민자투자금으로 전환해 30년간 분할 상환하기로 결정했다.[49]

2012년 3월, 이정문 전 용인시장은 용인경전철 비리 관련으로 구속영장이 청구되었다. 4월 12일, 행정안전부는 용인시에 용인경전철 배상금 정산을 위한 지방채 4420억의 추가 발행을 승인했다.[54] 4월 19일, 기존 사업 해지가 철회되고, 용인경전철 정상화를 위한 양해각서가 체결되었다.[55]

2013년 4월 14일, 용인시는 용인경전철과의 운영비 보전액 협상에서 타협점을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56] 4월 19일, 용인시와 용인경전철은 용인시가 연간 295억의 운영 적자를 보전하기로 합의하고, 4월 26일에 정상 개통하기로 합의하였다.[57]

6. 3. 봄바디어 부패 의혹

대한민국 검찰은 용인 경전철 건설과 관련하여 봄바디어 운송 관계자의 부패 가능성에 대해 수사했으며, 기술이 다른 경쟁사보다 우선적으로 선택되도록 하기 위해 승객 수를 과장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증거 부족과 공소 시효 만료로 인해 기소는 이루어지지 않았다.[3]

7. 향후 계획

기흥역에서 신분당선 광교역까지 6.8km를 연장하는 방안이 계획 중에 있다.[10]

참조

[1] 웹사이트 "'용인 경전철' 오늘부터 달린다" http://www.siminilbo[...] Simin Ilbo 2013-04-25
[2] 웹사이트 Korea’s Railway PPP (Public-Private Partnership) Projects https://centers.ibs.[...]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24-11-28
[3] 뉴스 Bombardier Transportation accused of corruption in South Korea http://www.cbc.ca/ne[...] CBC News 2015-01-31
[4] 웹사이트 YONGIN EVERLINE LRT: 5TH FULLY AUTOMATED METRO LINE IN SOUTH KOREA http://metroautomati[...] UITP 2013-04-29
[5] 웹사이트 차량도감 - 철도산업정보센터 https://www.kric.go.[...] 2024-11-28
[6] 웹사이트 "[용인경전철 2년-상]하루 이용객 3만명 시대 명암" http://www.newsis.co[...] 2022-03-01
[7] 웹사이트 PUBLIC-PRIVATE-PARTNERSHIP LEGAL RESOURCE CENTER https://ppp.worldban[...] 2024-11-28
[8] 웹사이트 Key Milestones https://ever-line.co[...] 2024-11-28
[9] 웹사이트 용인에버라인, 하루평균 승객 4만명 넘어...개통 11년만 https://www.redaily.[...] 2024-11-28
[10] 웹사이트 (경기도 도시철도) 용인경전철 연장 http://frdb2.wo.to/9[...] Future Rail Database 2012-11-12
[11] 웹사이트 History http://www.neotrans.[...] 2024-11-28
[12] 문서 運営事業者は龍仁軽"量"電鉄なのに対し路線名称は龍仁軽電鉄となっており、路線名称側に軽量の"量"は付かない。
[13] 문서 韓国では「軽電鉄」と称する。
[14] 뉴스 용인경전철 최첨단 무인운전기술 국내 전수 https://news.naver.c[...] Naver/毎日経済 2005-11-17
[15] 뉴스 "<용인경전철 사업 경과 일지>" https://news.naver.c[...] Naver/Newsis 2013-04-10
[16] 뉴스 용인 경전철 내달 개통 어려워..용인시 297건 지적 https://news.naver.c[...] Naver/聯合ニュース 2010-09-15
[17] 뉴스 용인경전철 또 다시 개통 연 http://news.khan.co.[...] 京郷新聞 2010-09-13
[18] 뉴스 "<연합시론> 재앙된 용인경전철 누가 책임지나" https://news.naver.c[...] Naver/聯合ニュース 2011-10-07
[19] 뉴스 "'용인 경전철 비리' 이정문 前시장 구속" http://news.hankyung[...] 韓国経済新聞 2012-04-05
[20] 뉴스 말 많은 용인경전철 26일 정상 개통…운영비 협상 타결 http://www.newsis.co[...] Newsis 2013-04-17
[21] 뉴스 용인경전철 26일 '정상 개통' http://www.kyeongin.[...] 京仁日報 2013-04-18
[22] 뉴스 "용인시장은 경전철 손해배상 청구하라" 주민소송 https://news.naver.c[...] Naver/聯合ニュース 2013-10-10
[23] 뉴스 용인경전철 관리운영 네오트랜스 최종결정 http://www.incheonil[...] 仁川日報 2015-12-29
[24] 뉴스 주요 연혁(主要沿革) https://ever-line.co[...] 龍仁軽量電鉄公式ウェブサイト 2018-08-10
[25] 웹사이트 연혁(歴史) http://www.neotrans.[...] ネオトランス公式ウェブサイト 2018-08-10
[26] 뉴스 신분당선 운영하는 네오트랜스, 용인경전철도 맡아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5-12-24
[27] 문서 Yougin Everline http://www.ever-line[...] 2009-11-25
[28] 뉴스 Yongin EverLine light metro finally opens http://railjournal.c[...] IRJ 2013-04-26
[29] 웹사이트 비티아이에이치(주) http://www.saramin.c[...] サラミン 2018-08-10
[30] 뉴스 신설법인 현황 (2004년 3월15일~3월20일) 서울 2 https://news.naver.c[...] Naver 2004-03-26
[31] 웹사이트 용인경전철(주) http://www.saramin.c[...] サラミン 2018-08-10
[32] 뉴스 경량전철 건설사업 실시협약 체결 https://news.naver.c[...] Naver/Newsis 2004-07-28
[33] 뉴스 용인경전철 변경 실시협약 시의회 통과했지만… https://news.naver.c[...] Naver/Newsis 2013-04-30
[34] 웹사이트 CEO 인사말(CEOご挨拶) https://ever-line.co[...] 2018-08-10
[35] 웹사이트 CEO Greeting https://ever-line.co[...] 2018-08-10
[36] 웹사이트 회사개요(会社概要) https://ever-line.co[...] 2018-08-10
[37] 웹사이트 CEO 인사말(CEOご挨拶) http://www.neotrans.[...] 2018-08-10
[38] 웹사이트 CEO Greetings http://www.neotrans.[...] 2018-08-10
[39] 뉴스 용인 경전철, 혈세낭비 멈추나 http://www.siminilbo[...] 市民日報 2013-07-25
[40] 문서 건설/관리 및 차량 운행
[41] 문서 역무 관리 및 선로 유지보수운영
[42]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1-327호 http://gwanbo.mois.g[...] 2001-12-15
[43] 문서 용인경량전철(주) 감사보고서(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확인.
[44] 뉴스 환승할인 안된 용인경전철 환승통로 오늘 개통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14-01-09
[45] 문서 역무 관리 및 선로 유지보수운영 업무 기준
[46] 뉴스 용인경전철 왜 못 달리나 http://news.mk.co.kr[...]
[47] 뉴스 용인시 경량전철 실시협약 변경 제안 https://news.naver.c[...]
[48] 뉴스 김학규 용인시장 경전철 내년4월 개통 약속 http://www.kgnews.co[...] 경기신문 2012-06-28
[49] 뉴스 용인경전철 배상금 7787억원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2-06-20
[50] 뉴스 용인경전철 파국으로 치닫나…시행사, 사업해지 통보 http://www.asiae.co.[...]
[51] 뉴스 '개통 지연' 용인경전철 국제중재 신청 https://news.naver.c[...]
[52] 뉴스 ‘재앙’ 용인경전철 … 시의회 특위서 책임자 가린다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11-03-05
[53] 뉴스 용인경전철 차량 이전보관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1-03-21
[54] 뉴스 용인시 지방채 4420억 추가 발행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2-04-16
[55] 뉴스 용인경전철, 내년 4월 개통...시-용인경전철(주) 양해각서 체결 http://news1.kr/arti[...] 뉴스1 2012-04-19
[56] 뉴스 용인경전철 26일 개통 불투명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3-04-14
[57] 뉴스 용인경전철 26일 오후3시 개통…시와 운영사 협약 체결 http://news.kukinews[...] 쿠키뉴스 2013-04-19
[58] 문서 용인시 공고 제2013-744호
[59] 문서 용인시 공고 제2007-514호
[60] 문서 용인시 공고 제2024-36호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